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최초 발생하여, 잠복기는 추정치로 2~14일이며, 감염 증상은 37.5도 이상의 발열, 기침, 호흡곤란, 근육통,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어 환자의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2020년 2월 11일 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명칭을 'COVID-19'로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COVID-19'는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rona Virus Disease)의 약자와 질병 발생년도였던 2019년에서의 19를 결합한 이름입니다.
한국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영문 표기는 WHO의 'COVID-19'를 그대로 사용하지만 한국식 표기에서는 '코로나19'로 명칭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코로나 단어를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이 바이러스 질병이 '사스'나 '메르스'와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임을 명시하기 위함이고, 보다 간결한 표기를 위해 -(하이픈)까지 뺐다고 합니다.
특정 지리적 위치의 지역명이나 개인 또는 집단의 이름, 동물, 식품명, 산업·직업군 등을 사용할 경우 차별 등 부정적인 시선의 낙인이 찍힐 수 있어 질병의 명칭을 정할 때 이를 제재해 왔는데요.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정확한 명칭이 없어 지역명을 딴 '우한폐렴', '우한 바이러스', '우한 신종 코로나' 등으로 많이 불리고 있었는데요. 이번 WHO에서의 확정된 명칭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지역명을 탈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선례로는, 중동호흡기 증후군(메르스)와 지카 바이러스 등이 있었습니다.
중동호흡기 증후군(메르스)는 사우디아라비아 내 단봉낙타 접촉에 의한 감염으로 원인이 되어 중동이라는 지리적 명칭이 붙었고, 지카 바이러스도 역시 1947년 우간다 지카 숲의 rhesus 원숭이에서 최초로 ZIKV가 확인이 되어 지리적 명칭이 붙게 되었습니다.
이 날 세계 보건 전문가들이 세계 보건기구(Global Health Organization)의 제네바 본사에서 회의를 통해 새로운 COVID-19 질병에 대한 현재 지식수준을 평가하고, 격차를 파악하며, 협력하여 질병 발병을 막는 데 필요한 우선순위 연구를 가속화하고 그에 따른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환자 현황(2020/03/05 09:00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3월 1일 16시 기준)
2월 23일, 국내 감염병 위기경보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
국내 지역별 발생현황
3월 5일 0시 기준 (출처: 중앙안전대책본부 보도자료) 지역별 주요 감염 경로
'생활스토리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적마스크 5부제,요일제 의미 / 구매방법 / 대리구매 / 마스크가격 / 미성년자 / 장애인 / 어린이 / 노약자 (0) | 2020.03.09 |
---|---|
통돌이/드럼세탁기 :: 세탁조 셀프청소 및 관리 하는 방법 (feat.세탁조 클리너 이용) (0) | 2020.02.13 |
[실업급여 수급자] 코로나19 의심 격리자 관련 - 1차,4차 실업인정 받는 방법(+안내문 및 교육자료 첨부) (0) | 2020.02.10 |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킹덤 시즌2 메인예고편 / 2020년 3월 13일 방영예정 (+시즌1 줄거리 포함) (0) | 2020.02.06 |
사랑의 불시착 tvN :: 손예진 귀걸이 추천, 스와로브스키 가격 / 발렌타인데이 여자친구 선물 (0) | 2020.02.03 |
댓글